본문 바로가기

daily life

외래종 vs 토종 가로수 비교|도심 가로수 종류와 특징 한눈에 보기

외래종 vs 토종 가로수|도심에서 우리가 함께 걷는 나무들

 

우리는 매일 도시의 가로수를 지나칩니다.

자세히 보면 낯선 잎 모양, 외국 영화에서 본 듯한 나무줄기… 알고 보면 외국에서 온 ‘외래종 가로수’인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전통 마을 어귀에서 자주 보던 느티나무 같은 ‘토종 가로수’는 점점 보기 어려워지고 있죠.

그렇다면 왜 도시에는 외래종 가로수가 많이 심겨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도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외래종 가로수와 토종 가로수를 비교해보고, 각각의 특징과 선택 이유를 알아봅니다.

 


🌿 토종 가로수

1. 느티나무

  • 특징: 우리나라 전통 마을 입구, 고목으로 자주 보임
  • 장점: 강한 생명력, 병충해에 강하고 가지가 넓게 퍼져 그늘 제공
  • 단점: 관리되지 않으면 가지치기 필요

2. 은행나무

  • 특징: 가을 노란 단풍, 열매 냄새 강함
  • 장점: 도시공해에 강하고 수명 길며 공기정화 능력 뛰어남
  • 단점: 열매 악취로 논란 → 수나무 위주로 식재

3. 회화나무

  • 특징: 깃털모양 잎, 여름 그늘 풍성
  • 장점: 한방 약재로도 쓰이고, 성장 속도 빠름
  • 단점: 가지가 약해 태풍 등에서 부러질 수 있음

4. 소나무

  • 특징: 바늘잎 상록수, 사계절 푸르고 전통적 상징성 큼
  • 장점: 병해충에 강하고 생명력 뛰어남, 한국 전통경관의 상징
  • 단점: 뿌리가 깊고 공간이 넓어야 하며, 도시 가로수에는 적합성 떨어질 수 있음
  • 비고: 공원, 산책로, 기념수로 주로 식재되며 도심보다는 외곽이나 공공시설 주변에서 자주 보임

 

📖 가로수 사진은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도심 가로수 종류와 구별법|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어 한눈에 정리

 

도심 가로수 종류와 구별법|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어 한눈에 정리

도심 가로수 종류와 구별법|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어 한눈에 정리 아름다운 봄꽃이 지나가고 나면, 이제는 푸른 나무들이 거리의 주인공이 됩니다. 하지만 매일 지나치는 가로수

news-youneed.com

 


🌲 외래종 가로수

1. 플라타너스 (양버즘나무)

  • 원산지: 유럽, 북미
  • 특징: 단풍나무처럼 생긴 넓은 잎, 껍질이 벗겨지는 줄기
  • 장점: 생장 빠르고 도시 미관 효과 큼
  • 단점: 꽃가루 알레르기, 낙엽 청소 어려움

2. 메타세콰이어

  • 원산지: 중국 (1940년대 이후 전 세계로 보급)
  • 특징: 곧게 뻗은 수형, 계절별 색 변화 아름다움
  • 장점: 도로 경관 효과 우수, 정렬된 숲길 연출 가능
  • 단점: 뿌리가 얕아 강풍에 약할 수 있음

3. 벚나무 (왕벚나무)

  • 논란: 한국 자생설 vs 일본 원산 논쟁 있음
  • 특징: 봄철 꽃비 연출, 관상용 가치 큼
  • 장점: 대중성, 축제와 관광 효과 큼
  • 단점: 병충해에 약해 수명 짧은 편

📌 외래종과 토종, 선택의 기준은?

항목 토종 가로수 외래종 가로수
적응력 기후 적응력 높음 초기 생장 빠름
생태성 생물 다양성 유지에 도움 일부 생태계 교란 가능성 있음
미관 효과 수형 자연스럽고 편안함 정렬된 느낌, 도시미관 강함
관리 측면 상대적으로 안정적 관리 가능 병충해·꽃가루·낙엽 등 민원 가능

🌱 마무리 생각

토종이냐 외래종이냐를 단순히 이분법으로 나누는 건 이제는 지양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때는 '우리 것'을 지키자는 취지로 토종 우선 정책이 강조되었지만, 지금은 그보다는 환경과 사회, 경관에 대한 종합적 고려가 중요한 시대입니다.

외래종이라고 해서 모두 나쁘거나 생태를 해치는 건 아닙니다. 메타세콰이어처럼 시민의 사랑을 받으며 풍경을 아름답게 바꿔주는 나무도 있고, 플라타너스처럼 도시의 한 시절을 대표하는 풍경이 된 외래종도 있죠.

반면, 토종이라고 해도 도시 환경에 맞지 않거나 관리가 어려운 경우엔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나무의 '국적'보다, 그 나무가 지금 이 도시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함께 보는 시선입니다.

중요한 건 도시 환경과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는 수종을 균형 있게 선택하는 것이죠.

도심 속 가로수는 그저 심어두는 나무가 아니라,
우리의 건강, 경관, 생태를 함께 지켜주는 존재입니다.

👉 다음에는 "학교, 아파트, 공원별 추천 수종"을 정리해볼게요!


📖 참고로 읽으면 좋은 글

전국 대표 가로수길 총정리|서울부터 제주까지, 사계절 걷기 좋은 길

 

전국 대표 가로수길 총정리|서울부터 제주까지, 사계절 걷기 좋은 길

전국 대표 가로수길 총정리|서울부터 제주까지, 사계절 걷기 좋은 길도심 한복판에서도, 여행지의 한적한 도로 위에서도 우리는 다양한 가로수길을 마주합니다. 나무 한 그루가 만들어내는 풍

news-youneed.com

도심 가로수 종류와 구별법|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어 한눈에 정리

 

도심 가로수 종류와 구별법|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어 한눈에 정리

도심 가로수 종류와 구별법|은행나무, 벚나무, 메타세콰이어 한눈에 정리 아름다운 봄꽃이 지나가고 나면, 이제는 푸른 나무들이 거리의 주인공이 됩니다. 하지만 매일 지나치는 가로수

news-youneed.com